피트니스

수면무호흡증 방치하면 치매 위험 높아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윤창호 교수와 고려대 의대,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수면무호흡증이 뇌 속 노폐물을 배출하는 ‘아교림프계’ 기능을 저하시켜 인지 기능 저하를 일으킨다고 30일 밝혔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호흡이 잠깐 멈추는 질환으로, 저산소증과 빈번한 각성을 유발해 깊은 수면을 방해한다. 장기간 방치할 경우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에 참여한 성인 1,110명을 평균 4.2년간 추적 관찰했으며, MRI를 통해 아교림프계 활성도를 측정하고 시각 기억력 점수를 평가했다. 결과, 수면무호흡증이 심할수록 아교림프계 활성도가 낮아지고 시각 기억력 점수도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양압기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수면무호흡증이 호전된 환자에서는 아교림프계 활성과 기억력이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윤 교수는 “잘 자는 것이 뇌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며,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목록으로